본문 바로가기
아는즐거움/모든 생활 정보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방전 관리 방법

by 빡언니 ☆ 2023. 1. 9.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관리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방전

겨울철에는 자동차 배터리도 쉽게 방전되기 때문에 차량용 배터리 관리를 필수로 해줘야 합니다. 무엇보다 내비게이션과 전동 및 열선 시트, 유리 열선, 블랙박스에 장착되는 전기용품이 늘어나기 때문에 더욱 배터리 관리에 신경 써줘야 하는데요~ 오늘은 겨울철 차량용 배터리 관리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방전 관리

자동차 보닛을 열었을때의 모습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방전

가장 중요한 배터리 온도

내연기관 차량에는 시동 및 전장 제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납축 배터리가 탑재되어있습니다. 차량용 납축 배터리는 충전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으며 이는 3년 이내 혹은 주행거리 5만 km 정도마다 교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차량용 납축 배터리는 외부와 내부 기온의 편차에 따라서 배터리 출력과 성능이 상이한데 특히 영하의 온도가 일상인 겨울철에는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기 쉽습니다. 이렇게 자동차 배터리 성능 저하가 지속되면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뿐만 아니라 수명도 줄어들기 때문에 웬만하면 외부 기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내 주차장을 이용하는 것이 좋고, 배터리 인슐레이션 패드를 장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자동차 배터리 충전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방전

배터리 전압 점검하기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배터리가 제대로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 주기적으로 전압 성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보통 차량용 배터리의 정격 충전 전압은 차량의 시동을 켠 상태에서 13.6~14.2V인데 만약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시동을 끈 뒤 다시 시동모터를 구동하여 측정한 전압이 9.5V에 가깝다면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정비소에 가서 전압 측정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자 장치 끄기

엔진이 꺼진 상태에서 차량의 전자장치 (네비게이션, 블랙박스)를 사용하게 되면 배터리 수명은 짧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전자 장치를 사용할 땐 도착지에 도착하기 5분 전에 전자장치를 미리 끄고 도착 후 1~2분 정도 공회전을 하여 배터리를 충전해서 자동차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는 것도 좋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방전

 자동차는 운행을 하지않고 장기간 주차만 해놓으면 배터리가 쉽게 방전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소 일주일에 1~@회 정도는 시동을 걸어주는 것이 좋고, 블랙박스는 상시 녹화 모드보다는 주차모드로 전환하는 게 좋습니다.

 

오늘은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방전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배터리를 교체해야할 경우에는 CCA(저온시동전류)가 높은 배터리를 고르는 것이 좋으니 CCA600 암페어 이상의 배터리로 교체하시길 바랍니다.

 

 

 

 

캐스퍼 가격 디에센셜 터보 내부 구매 후기

현대 자동차에서 선보인 캐스퍼는 11월에만 무려 5573대를 팔았다고 합니다. 처음 출시되었을 때는 경차치고 가격이 비싸다고 해서 인기가 없다는 이야기들도 많았지만 판매량만 본다면 인기가

hm1709.tistory.com

 

캐스퍼 프론트 그릴 레터링 몰딩 가니쉬 후기

캐스퍼를 구매하고나서 제일 먼저 프론트 그릴에 레터링 몰딩 가니쉬를 붙였습니다. 이 차를 구매하기전 거리에서 봤을때는 처음 출고할때부터 레터링 몰딩 가니쉬가 붙어있는줄 알았는데 그

hm1709.tistory.com

 

 

 

댓글